2025년 8월 27일 발표한 엔비디아 2026 회계연도 2분기 실적 발표에 대해 분기별 매출 트렌드, 10-Q, CFO 코멘터리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
엔비디아 투자에 참고하시고 정확한 내용은 아래 엔비디아 IR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1. 엔비디아 실적 개요
매출액: 467억 달러
-
전년 대비 +56%, 전분기 대비 +6%
-
-
순이익: 264억 달러
-
전년 대비 +59%, 전분기 대비 +41%
-
-
주당순이익(EPS, 희석): 1.08달러 (전년 대비 +61%)
-
총 마진율: 72.4% (전년 대비 소폭 하락, 전분기 대비 개선)
👉 요약: 전 부문 성장, 특히 데이터센터 및 AI 수요 확대에 힘입어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.
2. 부문별 매출 성과
3. 재무현황
- 현금 및 유가증권: 568억 달러 (전년 348억 달러 대비 증가)
- 매출채권: 278억 달러 (DSO 54일 → 현금 회수 지연 우려)
- 재고자산: 150억 달러 (전분기 대비 증가, Blackwell Ultra 대응)
- 운영현금흐름: 154억 달러 (전년 +6%, 전분기 대비 감소 — 세금 납부 영향)
4. 주주환원 정책
- 자사주 매입: 분기 97억 달러, 상반기 누적 242억 달러
-
배당금 지급: 2억 4,400만 달러
-
추가 자사주 매입 승인: 600억 달러 (총 가용 규모 7,120억 달러)
👉 강력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주주환원 강화 기조 유지.
5. 향후 전망 (Q3 FY26 가이던스)
-
매출: 540억 달러 (±2%)
-
총 마진율: GAAP 73.3%, Non-GAAP 73.5% 예상
-
운영비용: GAAP 59억 달러, Non-GAAP 42억 달러
-
세율: 약 16.5% 예상
-
H20 제품 중국 수출은 전망치에 미반영
👉 중국 H20 규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, AI 수요 강세와 Blackwell 제품군 확대로 지속적 성장이 예상됨.
6. 투자 포인트
✅ 긍정 요인
-
데이터센터 중심의 AI 수요 폭발적 성장 (클라우드 업체 + 소비자 인터넷 기업 수요)
-
Blackwell 아키텍처 본격 확대, 네트워킹 부문 고성장
-
대규모 현금 보유 및 공격적 자사주 매입
⚠️ 리스크 요인
-
중국 H20 제품 규제 → 특정 시장 성장 제한
-
매출채권·재고 증가 → 운전자본 관리 부담
-
경쟁 심화 (AMD, 인텔, 자체 칩 개발 기업)
📌 결론
NVIDIA는 AI 인프라 수요 폭발로 데이터센터 부문이 강력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, Blackwell 아키텍처의 본격 확산으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이 견조합니다.
다만, 중국 규제 및 운전자본 부담은 단기적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 있습니다.
👉 투자 전략:
-
단기: 고평가 부담 있으나 AI 모멘텀으로 매수세 지속 가능
-
중장기: Blackwell·Networking 확산과 주주환원 강화로 우량 성장주 포지션 유지


